위지윅 에디터(WYSIWYG 에디터)란 무엇인가?
티스토리 블로그나, 네이버 블로그는 위지윅(WYSIWYG) 에디터의 사례이다.
위지윅 에디터(WYSIWYG 에디터)는 "What You See Is What You Get"의 약자로, 사용자가 글을 작성하거나 편집할 때 보는 화면 그대로 결과물이 출력되는 방식을 말한다. 즉, 코드나 복잡한 명령어를 알지 못하더라도,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도구이다.
WYSIWYG 에디터의 특징
- 실시간 미리 보기
사용자가 작성한 내용이 편집 화면에서 최종 출력물과 동일하게 표시된다. - 코드 작성 불필요
HTML, CSS 같은 웹 기술을 몰라도 텍스트 서식, 레이아웃, 이미지 삽입 등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. - 직관적 인터페이스
굵게, 기울임, 글자 크기 변경, 색상 변경 등 포맷팅 작업을 메뉴나 버튼 클릭만으로 적용할 수 있다. - 백그라운드에서 코드 생성
사용자가 시각적인 조작을 할 때,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HTML과 CSS 코드가 생성된다.
WYSIWYG 에디터의 예
- 블로그 플랫폼: 티스토리, 네이버 블로그 등.
- 오피스 소프트웨어: Microsoft Word, Google Docs.
- 웹 편집기: WordPress, Wix, Squarespace.
예를 들어 티스토리 블로그는 WYSIWYG 에디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.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.
- 글자 크기 변경
선택한 문장이나 단락에 크기를 바로 적용할 수 있다. - 스타일 지정
굵게, 기울임, 밑줄, 글자 색상 등을 설정할 수 있다. - 이미지 삽입
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쉽게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. - 표/리스트 생성
HTML 코드를 작성하지 않아도 테이블과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.
WYSIWYG 에디터와 HTML 편집의 차이점
WYSIWYG 에디터
WYSIWYG 에디터는 초보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. 결과물이 실시간으로 보이며, HTML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. 그러나 HTML 표준이 아닌 티스토리 고유의 속성(예: data-ke-style, data-ke-size)이 추가되므로 외부 환경에서는 호환성이 떨어질 수 있다.
HTML 편집기
HTML 편집기는 코드를 직접 수정할 수 있어 세부적인 컨트롤이 가능하다. WYSIWYG 에디터가 생성한 불필요한 코드(예: data-ke- 속성)를 제거하거나 원하는 맞춤형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.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사용자라면 HTML 편집기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.
WYSIWYG 에디터의 장단점
장점
- 사용 용이성
코딩 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. - 빠른 작업 가능
버튼 클릭만으로 스타일과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. - 실시간 결과 확인
작성하면서 결과물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.
단점
- 코드 최적화 부족
불필요한 태그나 속성이 삽입되어 HTML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. - 고급 기능 제한
세부적인 맞춤 코드나 복잡한 작업은 HTML 편집 모드에서만 가능하다. - 플랫폼 의존성
티스토리 에디터에서 추가된 고유 속성(data-ke-)은 다른 플랫폼에서 비호환성을 일으킬 수 있다.
정리
WYSIWYG 에디터는 코딩 지식이 없어도 직관적으로 콘텐츠를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. 네이버 블로그 에디터, 티스토리 에디터는 WYSIWYG 에디터를 통해 초보자도 쉽게 블로그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. 그러나 data-ke-style, data-ke-size 같은 그 에디터에서만 사용하는 고유 속성이 포함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으로 옮길 때는 HTML 표준화가 필요할 수 있다. 블로그 콘텐츠를 티스토리 내에서만 활용할 경우 그대로 사용하면 편리하며, 외부로 활용하거나 더 정교한 제어가 필요하면 HTML 편집 모드를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.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"
'IT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서치콘솔 속성 삭제 방법, sitemap 과 rss 다시 제출 방법 (1) | 2024.11.19 |
---|---|
구글 서치콘솔 등록시 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 방법 (2) | 2024.11.15 |
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, 사이트맵(Sitemap)과 RSS 차이, rss 등록 방법 (4) | 2024.1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