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oogle Search Console (구글 서치콘솔) 등록 방법
1. 티스토리 구글 서치콘솔 등록 방법
구글 서치콘솔이란 구글 검색 결과에서 사이트(또는 블로그)의 검색 노출량과 클릭수, 그리고 주요 유입 검색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구글의 서비스이다.
구글 서치콘솔이 없더라도 티스토리 블로그는 구글 검색결과에 정상적으로 노출된다. 그러나 서치콘솔을 이용하면 구글의 관점에서 블로그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다.
종전에는 구글 서치콘솔 등록을 위해 별도 소유권 확인 코드를 발급받고, HTML 편집 등의 과정을 거쳐서 처리했다. 그러나 티스토리의 플러그인을 이용하면 쉽게 처리할 수 있다.
아래 그림과 같이 티스토리 관리 창에서 플러그인을 선택하고, 구글 서치 콘솔을 선택한 후, '계정 연결하기'를 클릭하면 구글 로그인 창이 나타나는데, 구글 계정 정보를 입력한 후 로그인하고, 이어서 나타나는 권한 요청 3가지에 모두 '허용'을 선택한다.
그러면 다음과 같이 'Search Console에 등록되었습니다.' 혹은 '연결되었습니다'라는 문구가 나타나는데, 이 문구가 정상적으로 나타난다면, '적용'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.
플러그인을 통해 서치콘솔에 등록하면, 사이트맵이 자동으로 제출된다. 기본 사이트맵은 ‘https://블로그 주소/sitemap.xml’ 형태의 주소로 살펴볼 수 있다.
구글 서치콘솔 페이지 사이트맵에 가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
2. 사이트맵(Sitemap)과 RSS 차이
rss를 추가로 제출하는 것과 관련하여, 보통의 경우 사이트맵과 RSS를 둘 다 등록할 필요는 없고, 주로 사이트맵(Sitemap)을 제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 두 가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:
1. 사이트맵(Sitemap)
- 주된 역할 : 구글이 웹사이트의 구조를 이해하고, 모든 페이지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크롤링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 역할.
-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전체 구조를 포함하기 때문에, 서치콘솔에 사이트맵을 등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
2. RSS (Really Simple Syndication)
- 주된 역할 : 주로 블로그나 뉴스 사이트에서 최신 콘텐츠나 업데이트된 게시물 목록을 구글에 빠르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.
- 필요에 따라 등록 : 콘텐츠가 자주 업데이트되는 사이트에서는 RSS 피드를 등록해 빠른 인덱싱을 유도할 수 있다.
rss를 추가로 등록하기를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rss를 추가하여 제출하면 된다.
"이 포스팅은 쿠팡파트너스의 일환으로,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"
'IT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위지윅 에디터, 티스토리 에디터와의 차이, WYSIWYG 에디터 (1) | 2024.11.26 |
---|---|
구글 서치콘솔 속성 삭제 방법, sitemap 과 rss 다시 제출 방법 (1) | 2024.11.19 |
구글 서치콘솔 등록시 DNS 레코드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 확인 방법 (2) | 2024.11.15 |